Why Japanese Websites Look So Different
URL:
1. Intro
일본 웹사이트를 살펴보면 텍스트가 엄청 많고, 밝은 색상도 많이 쓰이며 심지어 10개 이상의 폰트를 사용하고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미니멀하고 찾기 쉬운 디자인이 많은 서양의 웹사이트와는 달리 일본 웹사이트는 왜 이렇게 복잡한 스타일이 주류 디자인으로 남아있는 건지 분석하고자 한다.
2. Fonts & Front-End Website Development Constraints
일본어로 새로운 폰트를 만드는 일은 영어 폰트를 만드는 것과 차원이 다른 노력과 시간이 요구된다. 영어의 경우 자체(glpyh)가 약 230개이고 모든 라틴 알파벳을 커버할 자체의 수는 840개이지만, 일본어의 경우 한자가 포함되어 있어 7,000개~16,000개 이상의 자체가 있다. (이는 한자를 사용하는 중국, 한국에도 비슷하게 적용되어 이들을 묶어 CJK 폰트가 만들어져 있다.) 따라서 폰트 디자이너의 수도 많지 않고, 이 수많은 폰트가 화면에 로딩되는 시간도 길기 때문에 시각적 계층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른 수단을 찾을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이미지 위주의 화면이 만들어지고, 각각의 이미지에 맞는 폰트를 사용하는 비스포크 방식이 사용되었습니다.
3. Technological Development/Stagnation & Institutional Digital Literacy
일본은 다른 나라에 비해 기술적으로 성장이 느린 편이다. (아직 플로피 디스크를 쓰고 있는 나라) 따라서 관행이 쉽게 바뀌지 않아,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핀터레스트나 구글에 일본 포스터 디자인과 웹 디자인을 검색했을 때 매우 수준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Cultural Influence
웹 디자인뿐만 아니라 유튜브 섬네일도 (텍스트가 많고, 밝은 색상이 많고, 다양한 폰트가 쓰이는) 비슷한 디자인 형식을 갖고 있다. 이 현상에 대해 일본인에게 의견을 물었더니 “이런 디자인이 내용을 더 흥미로워 보이고, 볼지 말지 결정하기 쉽게 만든다. 반면에 서양의 미니멀한 디자인은 엄청나게 모호하고 지루하게 느껴진다”라고 답변했다.
이는 일본 특유의 정보 추구 태도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서양에 비해 위험 회피, 이중 확인, 빠른 결정에 대해 주저함 정도가 높은데, 이는 집단주의적 사회의 사고방식과 연결된다. 체현을 유지하는 것이 일본인에게 매우 중요한데, 만약에 실수할 경우 체면을 잃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능한 많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작은 공간에 많은 텍스트가 담기게 되었다.
5. Outro
이 분석은 일본 사람들은 독특해!라는 완전한 결론을 내리려는 시도가 아니다. 대신에 기술적, 역사적, 문화적 맥락이 일본 웹사이트 디자인에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 보여주기 위한 아티클이다.
•
전세계적으로 미니멀한 디자인 트렌드와는 다르게 일본은 왜 이렇게 텍스트, 색상, 이미지를 많이 넣은 웹 사이트 디자인을 고수하고 있지?라고 생각했다면, 이 아티클은 기술적·역사적·문화적 맥락 기반으로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어 그 이유를 납득할 수 있다는 점이 좋았다.
•
특히 텍스트가 많은데 여러 폰트가 섞여있어서 정보를 파악하는 데 혼란스러웠는데, 일본인의 관점에서는 이 디자인이 많은 정보를 알 수 있어서 좋다는 관점이 신선했다.
•
또한, 해외 서비스 기획을 맡게 된다면 그 나라의 문화를 먼저 이해하고 기획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돼서 좋았다.
•
웹 사이트 디자인을 넘어 UX/UI도 이런 맥락을 가지고 디자인하고 있는 지는 알 수 없었다. 추가적으로 다른 아티크를 찾아본 결과, UX/UI는 웹 사이트만큼 복잡도가 높진 않았지만 UX Writing이 매우 자세하게 쓰여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 디자이너의 일본 모바일 페이 앱 UI/UX 리뷰
URL:
2. CJK Typesetting Rules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