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터디 참가 신청
home
🔥지금 바로 신청하기! 🔥
home

쿠팡 - 앱 실행시 노출되는 프로모션 팝업 (다크넛지)

유형
UX/UI리뷰
서비스
쿠팡
작성자
L.T. 권성수
태그
다크넛지
Created time
2023/04/08 08:54
주차
3월마지막주
#uxui리뷰
서비스 명 / 화면
쿠팡 / 실행시 노출 팝업
분석이유
쿠팡 앱실행 시 나타나는 프로모션, 이벤트 팝업은 전체 레이어가 터치로 구성되어있음
타 어플들의 경우 하단, 혹은 중단에 팝업이 올라와도 빈 화면을 터치하면 닫기 혹은 반응이 없는데 쿠팡은 팝업창외에는 그레이 레이어가 올라와있고 빈화면 터치 시에도 이동시킨다.
흡사 다크패턴 같은 느낌을 주는데, 닫기버튼을 누르지않으면 반드시 확인을 해야한다.
쿠팡의 다크패턴은 여러 단계에 숨어있는 것으로 분석되는데, 앱을 시작하는 상황에서도 불필요한 혹은 원치않는 전단을 보도록 설계되어있다.
왜 그랬을까
쿠팡의 메인 팝업은 실행시점마다 다른 팝업이 노출되고 롤링 베너의 프로모션이 나타난다.(순서가 랜덤인지 항상 다른 팝업이 노출되었는데, 아마 노출로직은 별도로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형태의 구성은 프로모션 노출에는 꽤 유리해보이는데, 반드시 닫기를 누를때만 프로모션 페이지로 진입하지 않을 수 있다.
프로모션의 노출
- 쿠팡의 온라인 쇼핑 점유율은 전체 서비스 중에서도 압도적인 트래픽과 거래량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쿠팡 파트너스라는 시스템을 통해 sns나 특정 페이지 광고에서 유입을 통해 구매 시 일정 금액을 주는 등 앱으로 유입된 고객이 한 번에 앱을 벗어나거나 특정 상품 검색을 위한 과정에 추가 터치를 요구하게 된다.
결국 소비자는 품목을 정해두어도 팝업을 피할 수 없다
쿠팡의 팝업에는 오늘은 그만보기가 없다
이용자들은 팝업을 앱을 실행하는 매 순간(혹은 페이지로 유입되는 매 순간) 팝업과 모든 프로모션을 닫기를 누르지않는다면 보아야한다.
결국 1에서 정리한 것처럼 노출을 높이기위한 UI/UX가 적용되어있다.
이건 일종의 다크패턴일까?
다크패턴의 정의 : 사람을 속이기 위해 디자인(설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뜻하는 말로, 인터넷 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들을 은밀히 유도해 물건을 구매하거나 서비스에 가입하게 하는 것이 다크 패턴의 대표적인 사례다. (네이버 시사상식사전)
개인적으로 이런 레이어 팝업은 소비자의 의도와 다르게 프로모션을 노출하기위한 다크패턴으로 생각된다.
특정 상품 구매를 위해 접속한 유저에게 추가적인 상품, 행사상품을 보여주며 충동구매 혹은 연관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장치로 느껴졌다.
다른 서비스도 이럴까?
몇 개 설치된 앱들의 메인 팝업을 가능한 유사한 팝업을 찾아보려했지만 팝업이 없어서... 우선은 교보문과 시럽으로 확인해보았는데, 쿠팡처럼 동작하지는 않았다
교보문고
팝업이 닫히진 않았지만 닫지않아도 스크롤이 가능한 그레이 레이어
시럽
팝업이 닫히는 레이어
아쉬운 점
이미 앱 내 수 많은 다크패턴이있다고 이야기가 나오는 쿠팡. 로켓배송이란 서비스를 무기로 락인된 이용자에게 끝없이 다크패턴을 피하기 위한 고민을 주고, 의도적으로 불편한 요소를 추가해두었다.
트래픽과 거래량, 시장 1위 사업자의 지위를 이용한 일방적인 UX를 구성하는게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