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터디 참가 신청
home
🔥지금 바로 신청하기! 🔥
home

서비스를 ‘분석’하는 방법

유형
아티클공유
서비스
작성자
징징
태그
서비스기획
서비스분석
앱구조
UX개념
Created time
2023/10/27 02:02
주차
10월3주차
요약
서비스를 분석한다는 것
: 왜 이러한 서비스를 만들었는지 이해, 어떤 페인 포인트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 핵심 지표는 무엇일지 생각해보는 것
서비스 분석
WAY 1. 앱 버전 기록 확인
= 어떤 기능을 업데이트 했는지를 통해 개선 의도와 개선 효과(지표 개선) 파악 가능 > 어떤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는지도 유추 가능
WAY2. 정보 구조도 그려보기
= 서비스의 뼈대 생각해보기 > 앱 화면의 구성, 메뉴의 개수, 클릭하면 어느페이지로 넘어가는지 등 서비스 기능의 전반적인 배치 이해 ( DEPTH에 따라 기능 배치)
유저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조화해 놓은 것이 좋은 서비스, 특정 기능에 도달하기까지 불편함은 없는지 평가해보는 것도 좋음.
UX/UI 분석
UX가 총체적인 고객 경험에 집중한다면 UI는 화면의 구성에 조금 더 초점이 맞춰져 있다.
온보딩 - 처음 서비스를 접한 유저가 서비스에 잘 적응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을 가르킴 >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것 의미
검색 결과 노출 방법 - 서비스마다 자신의 핵심 가치를 잘 보여주는 UX/UI를 택해야 한다.
UX라이팅 - 서비스와 유저에 맞게 톤앤 매너 유지
계속 사용하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원칙
원칙1. 사람들은 복잡할수록 쉬운 걸 찾는다.
1-1 심리적 허들제거
1-2 직관적 화면 구성
1-3 탐색 비용 줄이기 (첫 화면에서 유저가 궁금해 하는 정보를 전달하여)
원칙2. 나의 선택은 타인을 통해 강화된다
2-1 고민을 공론화 해라 (다른 사람의 추천이나 리뷰에 영향을 받는 경우 많음)
2-2 리뷰는 세분화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리뷰는 필요한 정보를 취사선택하기 위해서 참고하는 경우가 많음)
2-3 데이터를 보여줘라 ( 정보에 대한 신빙성을 부여하는 데에는 데이터가 효과적)
원칙3. 사용자를 움직이는 다양한 보상을 연구하라
3-1 칭찬은 유저가 특정행동을 하도록 유도한다
3-2 작은 성과이더라도 시각화하여 보여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느낀점
평소에 UXUI 분석 시 지식이나 깊이가 부족 했는데 계속 사용하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원칙, 서비스 분석 방법을 읽고나서 분석할 수 있는 부분이 한층 넓어진 느낌이였고, 사소한 문장 하나로도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거나 그 서비스 고유의 컨셉을 가지고 갈 수 있다는게 흥미로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