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Flows, and Why They’re So Confusing
플로우의 종류에 대해 정리한 내용이며, 명확한 플로우 정의를 통해 원활히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는 내용
UML : 모델링 표준 언어. (플로우 차트에서 시작-원, 선택-마름모, 작업-박스)
테스크 플로우
1) 다양한 행위자의 세부 단계와 상호 작용을 설명
2) 특정 작업 수행하는 동안 사용자가 시스템 템플릿을 통해 이동하는 방법을 보여줌. 사용자 흐름과 비교하여 특정 작업이 '공통 진입점을 공유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유사하게 수행될 때 적합
3) 여러 분기나 경로가 없는 선형
4) 특정 작업에 대해 모든 사용자가 유사하게 완료하는 단일 흐름
와이어 플로우
1) 와이어프레임 스타일의 페이지 레이아웃 디자인과 상호작용을 표현하는 단순화된 순서도와 같은 방식을 결합한 디자인 사양 형식
2) 흐름에 나타나는 순서에 따라 관련 와이어프레임 세트를 모아 화면 흐름을 표현함
유저 플로우
1) 작업 수행 위해 사용자가 수행해야 하는 일련의 단계
2) 사용자가 앱, 웹 또는 기타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따를 수 있는 경로를 시각적으로 표현
3) 사용자가 특정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단계의 시각화
문제 : 테스크-와이어, 와이어+UML 등 사용자 흐름이라는 용어 안에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테스크 플로우는 선형 단일 옵션 특성으로 유저 플로우와 구별됨)
해결방안 :
실선-기본 사용자 경로, 점선-대체 사용자 경로 =>고충실도 상호작용 맵, 고충실도 UI 흐름
적절히 맥락화 (ex 로그인 사용자 흐름)
사람들이 사용하는 플로우가 제각각이라고 느껴 정의를 찾아보기 위해 정리한 내용이다. 업무하면서 플로우를 그려야 하는 일이 많아 몇번 짜보았지만 부족한 점이 있는 것 같아 더 조사하게 되었다. 테스크 플로우와 유저 플로우는 특히 사람들이 많이 혼용하는 느낌이 강했는데 둘의 차이점을 강조하며 구분법을 설파하는 걸 보며 둘을 구분하지 않는 게 생각보다 많이 겪고 있는 불편함이라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