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터디 참가 신청
home
🔥지금 바로 신청하기! 🔥
home

Product 디자이너와 UI/UX 디자이너를 혼동하지 말자

유형
아티클공유
서비스
작성자
Harris
태그
직무
Created time
2023/03/20 09:03
주차
3월 3주차
#아티클공유
[링크]
 선정 이유
요즘 회사에서 프로덕트 디자이너를 채용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체계적이고 공정한 평가를 위해 프로덕트 디자이너 검증 기준을 정리해보고 싶어 이 아티클을 보게 되었다. 간단하게 UX/UI 디자이너와 Product 디자이너의 차이점이 정리되어있어 좋은 아티클이라 생각해, 선정했다.
 주요 내용
<제품 디자이너의 역할>
1. Product Orientation(’제품 지향’ 또는 ‘제품 중심’으로 해석함)
제품 디자이너는 제품 관리자 및 엔지니어와 지속적으로 협력함
디자인 단계에서 최신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보다 ‘발견’에서 ‘전달’, ‘반복’까지 제품의 모든 단계에 참여
다른 디자이너들과 함께하기 보다 제품을 만드는 엔지니어 팀과 함께 일함
디자인 작업 결과를 측정하는 대신 제품의 성공 여부를 측정
훌륭한 제품 디자이너는 제품 관리자와 동일하게 고려하는 점이 많음
제품이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게 하고 제품 설계에 비즈니스 고려사항과 제약을 포함시킴
2. Holistic Experience Design(’전체적인 경험 설계’로 해석함)
UX는 고객 및 최종 사용자가 제품에서 제공하는 가치를 실현하는 방법임
고객이 시간 경과에 따라 회사와 제품과 맺은 모든 접점 및 상호 작용을 포함
일반적으로 여러 다른 UI(웹, 모바일, 데스크톱 등)는 물론 다른 고객 접점(전자 메일, 고객 지원, 알림 등)을 포함, 일부 제품(ex. O2O)에서는 오프라인 서비스가 포함되기도 함
훌륭한 제품 디자이너는 UX에 대한 넓은 시야로 작업을 바라봄. 제품 및 회사와 상호작용할 때 고객 여정을 생각
3. Prototyping
외부 사용자 및 고객의 빈번한 유효성 검사가 필요
프로토타입은 통신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수단이 됨
프로토타입은 전체 사용자 경험의 많은 면을 발견할 수 있어서 와이어프레임이나 스크린 샷보다 훨씬 더 정확한 의도를 나타냄
4. User Testing
훌륭한 제품은 실제 사용자와 고객에 의해 끊임없이 테스트됨
정기적인 테스트는 아이디어를 지속 검증 및 개선할 수 있고, 의도하지 않은 새로운 통찰을 발견할 수 있음
5. nteraction and Visual Design
인터랙션과 시각적 관점을 함께 생각할 때 불가능했던 방식으로 경험으로 설계할 수 있음
 느낀점
PO가 없는 환경에서 내가 PD이자 PO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저자의 정의에 따르면 나는 PD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스타트업에서 PD는 PO가 하는 생각을 같이 해야하는 것 같다.
작은 스타트업에서 일하며 모든 것이 다 연결되어있다는 것을 배웠다. 예를 들어, 설계에 허점이 있으면 그 허점은 CX 팀에서 메꿔야 하고, 같이 일하는 동료들이 겪는 비효율적인 업무는 시스템, 설계로 해결해줄 수 있다는 것을 체감했다. 동료의 리소스 절감은 비즈니스에도 영향을 미친다. 전체적인 경험 설계는 사용자 단에서의 전체 여정이기도 하지만, 내부 상황을 포함한 모든 것이지 않을까란 생각을 했다.
UX/UI 디자이너에서 Product 디자이너로 개념이 확장되면서, 고객 중심 뿐아니라 제품 중심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지도 중요해졌다. PD에게 제품을 구성하는 요소, 이해관계, 기술을 이해하고, 현실적인 사항을 고려하며 UX를 설계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
내 경험과 이 아티클에 따르면, PD에게는 우리 팀이 해결할 문제를 발견 및 발굴하고, 이를 함께 일하는 메이커들과 얼라인을 맞춰가며 만들어내고, 실험 후 이를 이터레이션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 이 모든 역량을 충분하게 갖춘 주니어 디자이너를 찾기는 불가능하겠지만, 최대한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 면접 질문을 연구해봐야겠다.